전공소개 및 특성
환경시스템공학전공은 과거의 전통적인 환경기술의 틀을 탈피하고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의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도록, 환경공학 기술과 에너지공학기술을 융합한 첨단의 전문 인력의 양성과 연구를 목표로 1999년에 신설되었다.
수질/대기/폐기물 오염처리 및 방지기술을 중심으로 한 환경공학과 바이오/폐기물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공학 기법을 이용한 환경 및 에너지 기술 개발, 평가 및 예측, 지속가능 융합기술 등의 분야에 정통한 고급 환경 및 에너지 전문가를 교육·배출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.
최근의 에너지 분야의 중요성의 부각으로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에너지분야 학과를 “환경에너지공학과”로 2012년에 재편성하였다. 본 학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산업자원부 지원 청정기술원, 환경부 지원 경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, 환경부 수처리선진화사업단, 교육과학기술부의 에너지환경융합기술센터 등 중추적인 정부지원 연구센터를 유치함으로써 학과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.
또한 교육과학기술부 BK21사업의 대학원 육성 학과에 선정되어 전체 대학원생들이 전액 장학금 및 연구지원금의 혜택을 받고 있다. 이와 같은 활발한 노력으로 본 학과는 국내 최고 수준의 첨단 실험실습 기자재를 이미 완비하였으며 활발한 산학협동 실무교육과 연구개발 능력 배양에 주력하고 있다.
졸업생들은 에너지 및 환경분야의 일반 산업체, 엔지니어링 회사, 용역 및 건설회사, 국공립 및 민간 연구소, 공사 및 공무원, 에너지 및 환경 국내외 단체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.
교육목표
교육목표 I (전문성)
- 환경시스템공학전공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과학 및 공학적 원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한다.
- I-I. 공학에 필요한 전공기초과목과 아울러 수질, 대기, 폐기물, 환경영향평가의 네 분야에 대한 핵심과목을 수강함으로써 환경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전문소양을 갖추도록 함
교육목표 II (창의성/실무)
- 과학적 또는 공학적 원리를 실무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창 의적 인재 양성- 실험, 설계 및 프로젝트 과목을 이수함으로써, 환경공학과 관련된 원리를 적용하고, 실제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스스로 연구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엔지니어 능력을 함양시킨다.
- II-I. 환경공학 분야와 관련된 원리 적용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아 낼 수 있는 능력
- II-II. 환경공학 분야의 실무기술을 겸비하여 스스로 연구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무적인 엔지니어 능력
교육목표 Ⅲ (의사소통/협동)
- 지식 및 기술을 타인과 효과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킨다.
- III-I. 구두발표, 보고서 또는 논문작성, 팀활동 등의 정보전달 능력을 함양하여, 습득한 지식 및 연구결과 등을 대외적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발표하고 필요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함
교육목표 IV (국제화)
- 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세계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킨다.
- IV-I. 활동영역을 세계무대로 넓힐 수 있도록, 영어강의, 외국어 능력
- IV-II. 국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적극적인 공동체 의식을 함양
연혁
2014.09. | 해수부 하구역종합관리시스템구축연구단 유치 |
---|---|
2012.11. | 백마관에서 제2공학관으로 이전 |
2012.03. | 환경에너지공학과로 개편 |
2010.12. | 환경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평가 통과 |
2010.03. | 대학원 내 에너지공학전공 신설 |
2009.09. | 교육과학기술부 지정 중점연구소(에너지환경융합기술센터) 유치 |
2007.03. | 환경생명공학과로 개편 |
2005.03. | 환경생명공학부로 개편 |
2004.08. | 환경부 Eco-Star Project 수처리선진화사업단 유치 |
2002.03. | 환경생물공학과로 개편 |
2000.12. | 국립환경연구원 경안천 조사사업단 유치 |
2000.07. | 환경부 지정 경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유치 |
2000.03. | 대학원 환경생명공학과 석,박사과정 설치 |
1999.08. | 교육부 두뇌한국21(BK21)사업 과학기술분야 대학원 학과로 지정 |
1999.03. | 과학재단/경기도 지역연구센터(RRC) 참여 |
1999.03. | 산업자원부 지정 청정기술원(환경연구분석센터) 유치 |
1999.03. | 공과대학 환경생물공학과 설치 |
1999.03. | 세라믹화학공학부 환경생물공학전공 신설 (구 화학공학과에서 분리) |
교과과정
이수학점
심화프로그램 적용대상 : 2027년 2월 이전 졸업자 중 심화 및 일반프로그램 이수자
전공 | 교양 | 전공 | 자유 선택 |
총 학점 | 적용 대상자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공통 | 핵심 | 학문기초 | 일반 | 소계 | |||||
환경시스템공학 | 15 | 12 | 30 | 0 | 57 | 70 | 7 | 134 | - 2015 ~ 2017학년도 입학생 |
일반과정 (비인증)* |
15 | 12 | 15 | 10 | 52 | 70 | 12 | 134 | |
환경시스템공학 | 17 | 12 | 30 | 0 | 59 | 70 | 5 | 134 | -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|
일반과정 (비인증)* |
17 | 12 | 15 | 10 | 54 | 70 | 10 | 134 |
일반과정은 심화프로그램 포기자로 전산에 일반프로그램으로 지정된 학생
심화프로그램 비적용대상 : 2027년 8월 이후 졸업자
전공 | 교양 | 전공 | 자유 선택 |
총 학점 | 적용 대상자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공통 | 핵심 | 학문기초 | 일반 | 소계 | |||||
환경시스템공학 | 15 | 12 | 19 | 6 | 52 | 70 | 12 | 134 | - 2015 ~ 2017학년도 입학생 |
17 | 12 | 19 | 6 | 54 | 70 | 10 | 134 | - 2018학년도 이후 입학생 |
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및 교과목
전공 | 학문기초교양 이수학점 |
필수 이수 교과목 | 적용대상자 |
---|---|---|---|
환경시스템공학 | 30 | 미적분학1(3), 미적분학2(3), 공학수학1(3), 통계학개론(3), 물리학1(3), 물리학실험1(1), 화학1(3), 화학실험1(1), 화학2(3), 화학실험2(1), [물리학2 / 일반생물학] 중 택1 (3) [C언어 / 파이썬프로그래밍입문] 중 택1 (3) |
-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[심화프로그램 이수자] |
19 | 미적분학1(3), 미적분학2(3), 공학수학1(3), 통계학개론(3), 파이썬프로그래밍입문(3), [물리학1, 물리학실험1 / 화학1, 화학실험1] 중 택1 (4) |
- 2027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|
일반프로그램 이수자: 학문기초교양 학점은 15학점
전공필수 이수학점 및 교과목
전공 | 전공필수 이수학점 |
필수 이수 교과목 | 적용대상자 |
---|---|---|---|
환경시스템공학 | 44 | 공학입문설계(3), 환경화학(3), 환경미생물학(3), 환경미생물학실험(2), 물질및에너지수지(3), 환경분석화학(3), 환경분석실험(2), 환경유체역학(3), 수처리실험(2), 대기폐기물실험(2), 캡스톤디자인1(3), 캡스톤디자인2(3) * 전공분야별 필수과목 4개 트랙 중 최소 2개 이상의 트랙에 대해 2개 교과목 이수 (12) ▶ 트랙1: 대기환경공학(3), 대기오염제어공학(3) ▶ 트랙2: 물리화학적폐수처리(3), 생물학적폐수처리(3) ▶ 트랙3: 폐기물에너지공학(3), 폐기물처리공학(3) ▶ 트랙4: 수질관리모델(3), 환경영향평가(3) |
- 2019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 (전입생 및 편입생 포함) - 2027년 2월 졸업생까지 적용 |
15 | 환경화학(3), 생물학적폐수처리(3), 대기오염제어공학(3), 폐기물처리공학(3), 환경영향평가(3) |
- 2027년 8월 졸업생부터 적용 (전입생 및 편입생 포함) |
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유효기간은 2027.2.28.까지 유지 후 종료
- 2027년 2월 이전 졸업대상자 중 공학교육인증 이수자 이수학점 및 관련 교과목은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문의